
세상에 버릴 사람은 없다
우리나라 선조들은 장애를 질병 중의 하나로 여겼다.
장애인과 그 부양자에게는 각종 부역과 잡역을 면제했다.
조선 초, 우의정과 좌의정을 지낸 허조 (척추장애인) 중종 때 우의정을 지낸 권균 (간질장애인) 광해군 때 좌의정을 지낸 심희수 (지체장애인) 영조 때 대제학, 형조판서에 오른 이덕수 (청각장애인) 역사를 빛낸 수많은 장애인들이 있었다.
조선시대에 장애인은 단지 몸이 불편한 사람일 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다. - EBS 역사채널e -
세종 13년(1431년), 박연이 아뢰기를 "옛날의 제왕은 모두 시각장애인에게 현송 (거문고를 타며 시를 읊음)의 임무를 맡겼으니 이는 세상에 버릴 사람은 아무도 없기 때문인 것입니다."
- 장애는 조금 불편할 뿐 무한한 가능성이 있는 평범한 사림이다. -
<사랑밭새벽편지에서>
적을 한 사람도 만들지 못하는 사람은 친구도 만들 수 없다. -앨프리스 테니슨-
자신의 몸, 정신, 영혼에 대한 자신감이야말로 새로운 모험, 새로운 성장 방향, 새로운 교훈을 계속 찾아나서게 하는 원동력이며, 바로 이것이 인생이다. (오프라 윈프리, 건강명언)

|